[KRX] 통화선물 이론가 공식 (Update)

한국거래소의 파생상품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 중 일부가 2023년 5월 24일자 기준으로 개정되었는데, 개정 내용 중 일부가 통화선물 이론가 관련 내용이다. [Before] [KRX] 통화선물 이론가 공식 상기 글 내용 대비 신·구 조문 대비 내용은 아래(■ 부분인 2p, 3p, 5p)와 같다. 조회수: 9

신지급여력제도 시행에 따른 보험회사 자본성증권의 리스크 요인 분석

예금보험공사에서 금융리스크리뷰誌 2023년 봄호(제20권 제1호)를 발간했는데 여기에 실린 글이며 발췌한 글 제목은 아래와 같다. 신지급여력제도 시행에 따른 보험회사 자본성증권의 리스크 요인 분석 신지급여력제도, 일명 K-ICS 시행에 따른 보험회사의 자본성증권의 리스크 요인을 분석한 글인데, 조건부자본증권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보험회사 리스크관리 담당자들에게도 유용하지 않을까 싶다. 조회수: 0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경기대응완충자본 부과 결정

금융위원회에서 나온 보도(참고)자료이다. [보도참고]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경기대응완충자본 부과 결정 앞서 은행권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건전성 제도 정비 방향에서도 언급했듯이 은행 포함하여 은행지주 리스크관리 담당자들 많이 힘들어질 듯 싶다. 조회수: 0

[권호 : 22-20] 신회계제도와 보험회사의 대응 : 경영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보고서 내용 중 모르는 약어는 약어집 참고!!! 보험연구원 보고서 영역 아래 있는 항목들 중 연구보고서 내 2월 28일자 기준, 권호와 제목이다. [권호 : 22-20] 신회계제도와 보험회사의 대응 : 경영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보고서는 IFRS17 도입과 관련한 배경/영향/대응/변화 등의 순서로 기술하되 필요한 영역에서는 각종 표나 그림을 활용하여 기술하고자 하는 바에 대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 더 읽기

[권호 : 23-06] SVB 파산과 ALM의 중요성

보험연구원 보고서 영역 아래 있는 항목들 중 CEO Brief 내 3월 24일자 기준, 권호와 제목이다. [권호 : 23-06] SVB 파산과 ALM의 중요성 내용은 ALM (Asset Liability Management) 부재, 즉, 유동성위험 관리 부재가 가장 큰 파산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즉, 단기부채에 해당하는 요구불예금의 단기 (-) 듀레이션과 장기자산에 해당하는 미 국채 및 주택 모기지 채권 등의 장기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