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 대한 고민

‘사람에 대한 고민‘, 적게 해도 문제지만, 많이 해도 문제다. 왜냐고? 이미 한정된 정보를 통해 얻은 한 인간에 대한 정보라는 것은 취합해봐야 그 양적인 한계로 인해 판단에 그리 큰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고민을 한다고 해도 그 속에 섞여 들어가 있는 수많은 Noise로 인해서 고민에 들인 시간에 비례하여 순도 높은 결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기도 … 더 읽기

성선설(性善說) vs. 성악설(性惡說)

성선설 (性善說)인간의 본성을 선으로 보는 설. 중국 전국시대의 유자(儒者)인 맹자(孟子)가 역설한 성론이다. 맹자는 모든 인간의 마음에는 본래 선에 대한 가능성이 내재해 있다고 하여 거기에서 우러나는 마음씨를 사단(四端;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의 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이 사단을 확대하면 인간의 선성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형태로 완전히 발휘된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의 성선설은 인의예지라는 유교적 가치관에 의한 덕목(德目)의 싹틈이 인간자연의 본성으로서 내재해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 더 읽기

人生而同酒四杯

– 其 仁 기 인 – 一杯知於我 (일배지어아) 한 잔 술로써 자아를 알게 되고 二杯準於遇 (이배준어우) 두 잔 술로써 만남을 준비하며 三杯豫於別 (삼배예어별) 석 잔 술로써 이별을 예감하고 四杯覺於自 (사배각어자) 넉 잔 술로써 자신을 돌아본다.(각성한다.) Views: 0

[펌] 月下獨酌

내가 아주 좋아하는 한시(漢詩)라서… – 李 白 이 백 – 月下獨酌 (월하독작) —- 그 첫 번째 花間一壺酒 (화간일호주) 꽃 사이 놓인 한 동이 술을 獨酌無相親 (독작무상친) 친한 이 없이 혼자 마시네 擧盃邀明月 (거배요명월) 잔 들어 밝은 달을 맞이하고 對影成三人 (대영성삼인) 그림자를 대하니 셋이 되었구나 月旣不解飮 (월기불해음) 달은 전부터 술 마실 줄 모르고 影徒隨我身 (영도수아신) 그림자는 … 더 읽기

평등 vs. 불평등

평등: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면(들), 즉 누구에게도, 심지어는 가족에게조차 말하기 싫어하는 불행한 단면이 있다. 그래서 세상은 평등하다. 불평등: 세상을 ONLY ‘행복’이라는 측면에서만 바라본다면, 너무나 불평등하다. 너무나!! 그래서 세상은 불평등하다. View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