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엿 먹어라’라는 욕의 유래

아래 글을 퍼오긴 했으나 출처는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난다. ※ 출처: 행방불명 – 관련 기사: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⑤여성] 41. 주부의 변신 1964년 12월 7일 전(前)기 중학입시의 공동출제 선다형(選多型) 문제 가운데 “엿기름 대신 넣어서 엿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었다. 당시 정답으로 채점된 것은 디아스타제였지만 보기 중 하나였던 무즙도 답이 된다는 것이 ‘엿 먹어라’라는 … 더 읽기

Sex란 단어의 어원

‘끊어 갈라 놓다’라는 라틴어 Sectus에서 유래한 말로 잃어버린 반쪽을 찾아 한 몸이 되려고 하는 본능, 혹은 그 접촉사고를 일컫는 단어 조회수: 0

“돼”/”되” 구별하기

아주 유용한 정보라서. ※ 출처: [권영은님 미니홈피]권군의 작은집 돼/되 가 많이 헷갈리는건 사실입니다. 그렇죠? 한국어 문법상 “돼/되” 의 구분은 “해/하”의 구분원리와 같습니다. 하지만 “해/하” 는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도 헷갈려 하지 않지만 “돼/되”는 발음이 똑같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거죠. 무슨 소리냐구요? 해보면 압니다. “돼” -> “해” “되” -> “하” 로 바꿔서 생각하면 되는겁니다. 예제를 풀어봅시다. … 더 읽기

내 블로그는 웹 표준을 지키는가?

돌아다니다 웹 표준과 관련한 글을 보게 되었다. 안 그래도 설치형 블로그로 전환하면서 이것 저것 초보자로써 조금씩 건드린게 좀 찜찜하던 차였는데, ‘잘 됐다’싶어 참조하고자 링크한다. – 관련 글 보러 가기 – 웹 표준 체크하기 조회수: 0

설치형 블로그로의 이전 <서문>

사실 나는 이전까지 기본적인 서비스+α가 제공되는 ‘포털형 블로그’로 블로깅을 했었다. 그러다 도아님에 의해 촉발된 일련의 사태를 바라보면서 느껴진 바가 있어 ‘포털형 블로그’가 아닌 ‘설치형 블로그’로 전환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결심을 이행하기 위해 일말의 무지함과 대부분의 귀찮음을 무릅쓰고 실행에 옮기어 지금 여기까지 오게 되었으니… 누가 지금의 내 블로그를 보고 허름하다며 뭐라 할지 모르지만, 개인적으로는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