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본인의 화두(話頭)

설 연휴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지난 주 금요일에 큰 스님께서 내려주신 2009년 화두(話頭)가 있는데, 이를 한시(漢詩) 형태로 알려주셨다. 내려주신 한시(漢詩) 형태의 화두(話頭)는 일단 아래와 같다.

高城基坦築 ( 고성기탄축 ) 에
慌夜不推香 ( 황야불퇴향 ) 하니
眞劍漏長天 ( 진검루장천 ) (이)면
燒日呑海淸 ( 소일탄해청 ) 이라

그런데, 정말 아쉬운 점은 저 화두(話頭)에 대한 설명을 안 해주셨다는 것이다. 하긴 그래서 화두(話頭)라고 하겠지만. 아무튼 본인의 짧은 한문(漢文) 실력이 매우 아쉽다고 느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 같다.

각설하고, 본인의 짧은 한문(漢文) 실력을 토대로 글자 그대로만 풀이해보면,

高城基坦築 : 고성(高城)의 터[基]가 평평하게 탄탄히 쌓여 있음에[坦築]
慌夜不推香 : 희미해서 앞이 안 보이는 밤[慌夜]에도 향기가 흩어지지 않으니[不推香]
眞劍漏長天 : 진검(眞劍)에서 오랜 기간[長天1] 새고[漏] 있으면2
燒日呑海淸 : 결국엔, 해를 태우고[燒日] 바다를 삼켜[呑海] 맑게[淸] 하리라.

라는 의미 풀이로 귀착된다. 더 이상은 본인의 한계인 듯.

덧.: 위 한시(漢詩)를 계속 보다보면, 아래의 어구가 계속 머리를 맴돈다. 다름아닌
고진감래(苦盡甘來) 혹은
비극반태(否極反泰)

Views: 0

Footnotes

  1. 여기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높고 먼 하늘’이라는 의미 보다는 오랜 세월 이라는 의미의 ‘장천(長天)’이 맞지 않을까 싶다.
  2. 구멍난 곳에서 오랜 기간 줄줄 새고 있다는 의미라고 개인적으로 판단한다.

“2009년 본인의 화두(話頭)”에 대한 2개의 생각

  1. 강원도 고성에 가서 농기구 장만하고, 집짓고, (향이 그윽한) 더덕 농사를 짓다보면, 농사지은거 다듬다가 세월가는 줄 모를거다.
    결국, 화전민이 되고 농사지은 더덕은 구이를 해먹어라

    뭐 이런 말 아닌가??? ㅋㅋㅋ

    응답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