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2월 25일 wordpress database 일부 망실로 복구 중이나 100% 복구는 힘들 것으로 예상 중…했으나 Wayback Machine의 도움으로 완전 복구 성공!!!
22년 전 한 바둑 잡지1에 실려 있던 내용을 스크랩해서 보관 중인 것을 발견하여 마침 잘됐다 싶어 기록 보존 및 기억 유지 차원에서 남기며 호칭 시점은 대부분 공통 (共通), 일부 남자 (男子), 일부 여자 (女子) 등으로 파악하면 된다.
물론,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가 가족 호칭 양성평등을 담은 시행계획을 2019년 초반에 발표2하고 같은 해 5월에 공론의 장3도 가졌으나 아직까지 실생활에서는 아래의 호칭이 더 많이 쓰이기에 참고하는 측면도 있음을 밝힌다.
호 칭 | 특 별 호 칭 | 관 계 | 시점 |
아버지 | 부친(父親) 가친(家親) | 나를 낳아주신2 분 | 공통 |
어머니 | 모친(母親) 자친(慈親) | 나를 길러주신 분 | 공통 |
할아버지 | 조부(祖父) | 아버지의 아버지 | 공통 |
할머니 | 조모(祖母) | 아버지의 어머니 | 공통 |
증조 할아버지 | 증조부(曾祖父) | 할아버지의 아버지 | 공통 |
증조 할머니 | 증조모(曾祖母) | 할아버지의 어머니 | 공통 |
고조 할아버지 | 고조부(高祖父) | 증조 할아버지의 아버지 | 공통 |
고조 할머니 | 고조모(高祖母) | 증조 할아버지의 어머니 | 공통 |
남편 | 부(夫) 가장(家長) 부서(夫壻) 장부(丈夫) | 지아비, 아비 | 공통 |
아내 | 처(妻) 내자(內子) 부인(夫人) | 지어미, 부인 | 공통 |
아들 | 가아(家兒) 돈아(豚兒) 가돈(家豚) 돈견(豚犬) 미돈(迷豚) 약식(弱息) | 내가 낳은/기른 사내아이 | 공통 |
며느리 | 자부(子婦) 식부(息婦) | 아들의 아내 | 공통 |
딸 | 여식(女息) | 내가 낳은/기른 여자아이 | 공통 |
사위 | 서랑(壻郞) | 딸의 남편 | 공통 |
형 | 장형(長兄) 사백(舍伯) 사중(舍仲)3 | 손위 형제 | 남자 |
형수 | 큰 형수(長兄嫂) | 형의 부인 | 남자 |
아우 | 가제(家弟)2 사제(舍弟) 사계(舍季)4 | 손아래 동생 | 남자 |
제수 | 제수(弟嫂) | 아우의 아내 | 남자 |
손윗누이 | 가매(家妹) 언니 | 손위 남매 | 남자 |
자형 | 자형(姉兄) 매형(妹兄) | 손윗누이의 남편 | 남자 |
형부 | 형부(兄夫) | 손윗누이의 남편 | 여자 |
손아랫누이 | 매(妹) 가매(家妹) | 손아래 자매/남매 | 남자 |
매제 | 매부(妹夫) 매제(妹弟) | 손아랫누이의 남편 | 남자 |
제부 | 제부(弟夫) | 손아랫누이의 남편 | 여자 |
큰 아버지 | 백부(伯父)5 중부(仲父)6 | 아버지의 형이자 아버지 남자 형제 중 제일 큰 형 | 공통 |
큰 어머니 | 백모(伯母) | 아버지의 형수 | 공통 |
작은 아버지 | 숙부(叔父)3 계부(季父)7 삼촌(三寸)2 | 아버지의 동생 | 공통 |
작은 어머니 | 숙모(叔母) | 아버지의 제수 | 공통 |
당숙 | 당숙(堂叔) 종숙(從叔) | 아버지의 사촌형제 | 공통 |
당숙모 | 당숙모(堂叔母) 종숙모(從叔母) | 아버지 사촌의 부인 | 공통 |
재당숙 | 재당숙(再堂叔) 재종숙(再從叔) | 아버지의 육촌형제 | 공통 |
재당숙모 | 재당숙모(再堂叔母) 재종숙모(再從叔母) | 아버지 육촌의 부인 | 공통 |
종조부 | 종조부(從祖父) | 할아버지의 형제 | 공통 |
종조모 | 종조모(從祖母) | 할아버지의 형수/제수 | 공통 |
종형제 | 사촌형제(四寸兄弟) | 아버지의 조카 | 공통 |
종수 | 사촌형수(四寸兄嫂) 사촌형수(四寸弟嫂) | 아버지의 조카 며느리 | 공통 |
재종형제 | 육촌형제(六寸兄弟) | 당숙의 아들 | 공통 |
재종수 | 육촌형수(六寸兄嫂) 육촌제수(六寸弟嫂) | 당숙의 며느리 | 공통 |
조카 | 질(姪) 조카딸/조카사위 | 형, 아우의 아들/딸 | 공통 |
조카 며느리 | 질부(姪婦) | 조카의 아내 | 공통 |
당질 | 당질(堂姪) | 사촌의 아들 | 공통 |
당질부 | 당질부(堂姪婦) | 사촌 아들의 아내 | 공통 |
종손 | 종손(從孫) | 조카의 아들 | 공통 |
재종손 | 재종손(再從孫) | 육촌의 손자 | 공통 |
고모 | 고모(姑母) | 아버지의 여자 형제 | 공통 |
고모부 | 고모부(姑母夫) 고숙(姑叔) | 고모의 남편 | 공통 |
당고모 | 당고모(堂姑母) | 아버지의 사촌누이 | 공통 |
당고모부 | 당고모부(堂姑母夫) 당고숙(堂姑叔) | 당고모의 남편 | 공통 |
재당고모 | 재당고모(再堂姑母) | 아버지의 육촌누이 | 공통 |
재당고모부 | 재당고모부(再堂姑母夫) 재당고숙(再堂姑叔) | 재당고모의 남편 | 공통 |
대고모 | 대고모(大姑母) 왕고모(王姑母) | 아버지의 고모 | 공통 |
내종형제 | 내종사촌(內從四寸) 고종사촌(姑從四寸) | 고모의 아들/딸 | 공통 |
외할아버지 | 외조부(外祖父) | 어머니의 아버지 | 공통 |
외할머니 | 외조모(外祖母) | 어머니의 어머니 | 공통 |
외숙부 | 외숙부(外叔父) 외삼촌(外三寸) | 어머니의 남자 형제 | 공통 |
외숙모 | 외숙모(外叔母) | 외숙부의 아내 | 공통 |
외종형제 | 외사촌(外四寸) | 외숙부의 아들/딸 | 공통 |
외종수 | 외종수(外從嫂) | 외숙부의 며느리 | 공통 |
외당질 | 외당질(外堂姪) | 외종형제의 아들 | 공통 |
외당질녀 | 외당질녀(外堂姪女) | 외종형제의 딸 | 공통 |
외당질부 | 외당질부(外堂姪婦) | 외종형제의 며느리 | 공통 |
이종형제 | 이종사촌(姨從四寸) | 어머니의 여자 형제의 자녀 | 공통 |
진외당숙 | 진외당숙(陳外堂叔) | 아버지의 외종형제 | 공통 |
장인 | 장인(丈人) | 아내의 아버지 | 남자 |
장모 | 장모(丈母) | 아내의 어머니 | 남자 |
처백부 | 처백부(妻伯父) | 아내의 큰 아버지 | 남자 |
처백모 | 처백모(妻伯母) | 아내의 큰 어머니 | 남자 |
처숙부 | 처숙부(妻叔父) | 아내의 작은 아버지 | 남자 |
처숙모 | 처숙모(妻叔母) | 아내의 작은 어머니 | 남자 |
처남 | 처남(妻男) | 아내의 남자 형제 | 남자 |
처남댁 | 처남댁(妻男宅) | 처남의 아내 | 남자 |
처조카 | 처질(妻姪) 처질녀(妻姪女) | 처남의 아들 딸 | 남자 |
처질부 | 처질부(妻姪婦) | 처조카 아내 | 남자 |
Footnotes
- 잡지 이름이 기억 안난다.
- 가족 호칭도 평등하게…시댁만 존칭 사용 ‘없앤다’ [거제저널]
- 가족 호칭에 대한 공론의 장 열린다 [여성가족부 정책뉴스]
- 남동생을 한자말로 남에게 겸손하게 이를 때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 외 형이 편지에서 막내 아우를 표기할 때 사용한다.
- 남자 형제 중 제일 큰 맏이
- 아버지가 셋째로서 바로 위 남자 형제인 둘째를 칭할 때 사용한다. , 귀찮으면 그냥 편하게 큰아버지, 첫째 작은 아버지, 둘째 작은 아버지, 셋째 작은 아버지 등과 같이 불러도 된다.
- 아버지 남자 형제 중 제일 막내를 칭할 때 사용하나 요즘은 그냥 큰 숙부, 둘째 숙부 등으로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