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 사이

인간!

먼저 네이버 국어사전을 통해 그 의미부터 한 번 보자.

인간(人間)[명사]
1.사람. 인류(人類).
2.사람의 됨됨이.
¶그는 인간이 됐어.
3.사람이 사는 세상. 세간(世間).
¶환웅이 인간에 내려와서 백성을 다스리다.
4.‘마음에 마땅치 않은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저 인간의 말은 아무도 믿지 않는다.

 

엠파스 국어사전도 같이 한 번 보자.

인간(人間)[명사]
1.사람. 인류(人類).
2.사람의 됨됨이.
¶그는 인간이 됐어.
3.사람이 사는 세상. 세간(世間).
¶환웅이 인간에 내려와서 백성을 다스리다.
4.‘마음에 마땅치 않은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저 인간의 말은 아무도 믿지 않는다.

 

이왕 본 거 야후 국어사전 올인올 통합사전도 보자.

인간
[人間] <명사> ①사람①. ¶~의 존엄성. ~의 본성은 착한 것이라고도 하고 악한 것이라고도 한다.
②사람이 사는 세상. ¶경은 수고를 아끼지 말고 다시 토 처사와 함께 ~에 나가라 하니. <별주부전>.

 

여기까지 온 거 네이트 국어사전도 마지막으로 보자.

인간(人間)[명사]
1.사람. 인류(人類).
2.사람의 됨됨이.
그는 인간이 됐어.
3.사람이 사는 세상. 세간(世間).
환웅이 인간에 내려와서 백성을 다스리다.
4.‘마음에 마땅치 않은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인간의 말은 아무도 믿지 않는다.

 

보면 알겠지만, 야후올인올 통합사전을 빼고는 네이버와 엠파스가 같고 네이트토씨 하나(¶) 틀린 정도의 해석이다. 즉, 대동소이하다. ‘인간(人間)’을 사람으로 보기도 하지만, 더 넓게는 사람이 사는 세상으로 보기도 한다는 의미인데…

여기서 드는 의문!!! ‘인간(人間)’이란 말을 한문 그대로 직역하면, ‘사람 사이’가 되는데, 왜 인간의 ‘간(間)’을 ‘사이 간(間)‘으로 했을까?

저 ‘사이’의 의미가 우리가 알고 있는 의미 중에 하나인 ‘틈(균열의 의미인 crevice, 이미 갈라진 틈인 crack, 단절의 의미인 gap, 벌어진 공간의 의미인 space, 혹은 물리적 단절이나 간격을 의미하는 interval/distance)’인가? 아니면 말 그대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relation)’를 의미하는 것인가? 그것도 아니면 둘 다인가?

어떻게 보면 너무 뻔한 질문을 한 것일 수도 있다. 왜냐면 ‘사이’의 의미가 위에서 언급한 둘 다의 의미라는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을테니까.

그러나, 여기서 다시 한 번 언급했던 것은 ‘사이’의 의미가 둘 다이기 때문에 사람과 사람 사이가 어려운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다. ‘사이’로 인해 때로는 사람과 사람이 ‘단절’되기도 하고 ‘사이’로 인해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기도 한다. 그래서 수 많은 관계가 형성된다. 부모와 자식 사이, 부부 사이, 연인 사이, 형제와 자매 사이, 친구 사이, 선후배 사이, 사회적 인연을 통한 사이, 그 외 모든 기타 사이 등.

그 수 많은 사이 중 우리네 부모님 사이, 즉 남편과 아내 사이를 보자.(물론, 별 탈 없이 자식 키운 후 노후를 맞이하신 분들에 한해서다.)1 보면, 당신들께서는 어떻게 수십년을 남편과 아내 사이를 유지할 수 있었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그 분들 사이에서는 한 쪽의 실수로 ‘단절’ 직전까지 갔던 위기가 분명 없지 않았을텐데, 과연 그 위기를 어떻게 넘기셨을까? 자식 키우는데 있어 아주 별 탈이 없지는 않으셨던 내 부모님도, 내 기억으로는 두 어번의 아주 심각한 위기가 있었는데 말이다.

사람은 실수로 인해서 큰다고들 한다.2 ‘단절’ 직전까지 갔을 정도면, 상대방의 실수에 대해 이미 한 쪽의 판단이 굳어진 상황이었을텐데 그 위기를 넘기고 아직까지 ‘사이’를 유지하면서 나와는 부모와 자식 사이를 유지하고 계신다는 것은, 그 당시 한 쪽이 실수하여 ‘단절’ 직전까지 갔을 때에도 다른 한 쪽이 ‘단절’을 감행하지 않았다는 의미로밖에 해석이 안된다. 이 해석이 맞다면, ‘단절’을 감행하지 않고 ‘연결’을 택한 쪽은 상대방의 무엇을 보고 ‘단절’을 행하지 않았나라는 의문에 봉착하게 된다. ‘단절’ 직전까지 갈 정도면, 둘 사이의 신뢰가 상당히 훼손되었을 터인데 말이다. 신뢰가 훼손되었으니 상대에 대한 ‘확신‘도 없었을 것은 분명할 터이고.

문득, 우리네 부모님 세대들은 그러한 위기를 어떻게 지혜롭게3 극복하셨는지 진정으로 궁금하다. 정녕!!!

Footnotes

  1. 이미 나와 누구처럼 절대 같이 할 수 없는 그런 ‘사이’는 제외다. 그리고 부모님 사이를 예로 든 것은 내가 태어나서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며 다른 ‘사이’로 확대하면 글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2. 실수를 토대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3. 무대포였을 수도 있을 것이고 속는 셈 치고였을 수도 있을 것이고 그 외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여 실행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지만, 지나서 보면 결국 지혜로운 결과 아니었나 하는 개인적 판단에서 적었다.

4 thoughts on “사람과 사람 사이”

    • 맞지여…이후는 사람의 몫인데, 사람의 몫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의미로 이 글을 쓰려고 했던 것이고 처리 와중에 양 당사자가 어떠한 모습을 보이느냐가 포인트라고 생각한거져…

      응답
  1. 연결을 끊어야 하는 능동자와 단절을 겪게 되는 수동자는 어느 한쪽이 능동이라고 말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원인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 원인이 누구에게서 비롯되었는지, 그리고 그 원인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앞으로 그러한 일들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잘 아는 것이 됨됨이가 된 인간이겠지요.

    응답
    • >> 연결을 끊어야 하는 능동자와 단절을 겪게 되는 수동자는 어느 한쪽이 능동이라고 말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원인들을 갖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여러 가지 원인들을 가지고 있지요. 그러나 그 원인들을 상대방과의 공존과 공유 속에서 바라보는 모습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상대방은 그럴 것이기 때문에 연결의 단절만이 필요할 뿐이다라고 바라보는 상황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 자체가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상대방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그 갖춰나가는 과정도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구요. 그랬기 때문에 앞서 주석 3번에서 언급한 것처럼 지나고 보니 연결의 단절 보다는 그렇지 않았던 것이 나았다고 확인되는 것이 아닐까요?

      >> …됨됨이가 된 인간

      됨됨이를 갖추기 위해서 노력하는 과정의 확인도 없이 어느 한 순간, 갑자기 판단하여 ‘어! 당신 많이 바뀌었네’라고 인지한다는 것은 앞서의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남편과 아내 사이’ 보다는 오히려 ‘친구와 친구 사이’나 ‘동문 혹은 동창 사이’에 더 가깝다고 보여집니다.

      물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주석 3번에서 밝힌 바, ‘지나고 보면’이라는 전제가 붙어야만 하고 이 ‘지나고 보면’이란 전제는 ‘내가 왜 상대방 때문에 이런 고통의 순간을 견뎌야 하나’라는 의문이 당연한 동반되는, 감내하기 힘든 시기를 보내야 합니다. 그렇기에 연결을 끊어야 하는 능동자와 단절을 겪게 되는 수동자에게는 여러 가지 원인 보다는 좀 더 단순한 원인만이 존재한다고 판단됩니다.

      응답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