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ssh 서버 접속 시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메시지 나올 경우

일단, 본인이 접속하려는 ssh 서버가 우분투이기 때문에 제목에 우분투로 명명했지만, 아마 대부분의 리눅스 ssh 서버에서도 가능한 대처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확인은 못해봤으니 알아서 참고하기를. 일단 접속하려는 OS가 Windows인지 Ubuntu(혹은 다른 리눅스)인지에 따라서 경로 syntax를 아래와 같이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 Windows에서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명: hong, server URL: abc.com, port: 8282) ssh-keygen -f PATH/.ssh/known_hosts -R “[server … Read more

우분투에서 BIOS, Mainboard 정보 확인 명령어

참고 링크는 아래와 같다. Dmidecode, check the BIOS version and other data from the terminal 우분투라고 제목에 명기했으나 대부분의 리눅스에서는 사용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아무튼! 각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BIOS 버전 및 출시일 확인 sudo dmidecode -s bios-version sudo dmidecode -s bios-release-date Mainboard 제조사 및 모델명 확인 sudo dmidecode -s baseboard-manufacturer 또는 sudo dmidecode -s … Read more

Windows 11 WSL2 이용한 Python Jupyter 설치 및 내·외부에서 접속

주요 기본 환경 설정은 Windows 11 WSL2 이용한 SSH & RStudio Server 설치 및 내·외부에서 접속 글을 참고하면 되며 추가로 아래와 같은 내용 역시도 참고했다. 우분투 20.04에서 Jupyter Notebook 사용법: Web browser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축 Jupyter Notebook을 원격으로 접속하기 jupyter notebook 원격 접속 설정 상기 추가 참고한 내용과 실제 설치를 위해 경험한 내용을 순서대로 … Read more

Windows 11 WSL2 이용한 SSH & RStudio Server 설치 및 내·외부에서 접속

Windows 11 내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2 설치 후 이 WSL2에 다시 RStudio Server를 추가로 설치하고 내·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참고한 링크는 다음과 같으며 번호는 설치 순서 및 참고 순서로 이해하면 된다. 구글 검색: windows 11 wsl 설치 Using RStudio Server in Windows WSL2 WSL SSH 접속 세팅하기 WSL2,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wsl2를 이용시 … Read more

Power Supply Calculator

인터넷 서핑 하면서 여러 Power Supply 출력을 계산해주는 사이트를 보았으나 대부분 형식적인 계산만 해주는 곳이어서 마음에 안들던 와중에 찾은 사이트이다. 아주 마음에 든다. OuterVision® Power Supply Calculator View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