足髮夷

– 其 仁    기 인 – 足髮夷 現時足髮夷在島國     현재 쪽바리[足髮夷]들이 일본[島國]에 있어 현시족발이재도국 迷惑多數善良島民     다수의 선량한 일본인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고 있네. 미혹다수선량도민 步便袋中稱走便袋     걸어다니는 똥주머니 중에서도 뛰어다니는 똥주머니라서 보변대중칭주변대 敢問徒輩則便中便     감히 이 놈들을 진정한 똥 중에 똥이냐고 안 물을 수 없다. 감문도배즉변중변 唯一聽所則必足家     그런데, … Read more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이미지 파일로 전환해주는 사이트

이너넷을 뇰시미 돌아 댕기다 우연찮게 발견하게 된 사이트다. 이 사이트에서는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입력된 이메일 주소가 포함된 아래와 같은 깔끔 & 이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해 준다. 이 이미지 파일들은 현재 내 블로그 우하단에 있다. Views: 0

[펌] ‘엿 먹어라’라는 욕의 유래

아래 글을 퍼오긴 했으나 출처는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난다. ※ 출처: 행방불명 – 관련 기사: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⑤여성] 41. 주부의 변신 1964년 12월 7일 전(前)기 중학입시의 공동출제 선다형(選多型) 문제 가운데 “엿기름 대신 넣어서 엿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었다. 당시 정답으로 채점된 것은 디아스타제였지만 보기 중 하나였던 무즙도 답이 된다는 것이 ‘엿 먹어라’라는 … Read more

“돼”/”되” 구별하기

아주 유용한 정보라서. ※ 출처: [권영은님 미니홈피]권군의 작은집 돼/되 가 많이 헷갈리는건 사실입니다. 그렇죠? 한국어 문법상 “돼/되” 의 구분은 “해/하”의 구분원리와 같습니다. 하지만 “해/하” 는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도 헷갈려 하지 않지만 “돼/되”는 발음이 똑같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거죠. 무슨 소리냐구요? 해보면 압니다. “돼” -> “해” “되” -> “하” 로 바꿔서 생각하면 되는겁니다. 예제를 풀어봅시다. … Read more